인터넷(Internet)은 웹(Web)일까?
인터넷 == 웹 ?
결론부터 말하자면, 인터넷과 웹은 다르다.
인터넷은 TCP/IP 기반의 네트워크가 세계적으로 확대되어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망을 의미하며,
월드 와이드 웹, 전자 메일, 파일 공유, 웹캠, 동영상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 VoIP, 모바일 앱 등 다양한 서비스들을 포함한다.
웹은 전자 메일과 같이 인터넷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의 서비스로,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세계적인 정보 공간을 말한다. 정확히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 W3)이라고 하며, 간단히 웹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인터넷과 웹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자.
인터넷
1. 인터넷의 개념
인터넷(Internet)이란 '인터 네트워크(inter-network)'라는 말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전 세계 컴퓨터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인터 네트워킹(inter-networking) :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간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모두를 연결시키는 방법론을 뜻한다. 네트워크끼리의 상호 연결성을 구성하기 때문에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라고 불리기도 한다.
2. 인터넷의 탄생
미국 국방성에서 탄생시킨 최초의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ARPANET)에서 시작되어, 초기 NCP 패킷 송출 방법에서 1983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TCP/IP 패킷 송출 방법으로 전환하며 더욱 빠르게 발전하였다. 원래 군사적인 목적이었던 ARPANET이 민간용으로 풀리면서 인터넷 환경의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3. 인터넷의 구성
인터넷이란, 수많은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 그리고 이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들의 집합체이다. 여러 컴퓨터가 각각 클라이언트와 서버로써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망을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라고 하며 인터넷은 이런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 세계적인 규모로 수없이 많이 모여서 이루어진 일종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4. 인터넷의 특징
- 실시간, 양방향의 멀티미디어 네트워크이다.
: 기술의 발전으로 문자나 음성정보 외에 동화상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고 지역과 호스트 기종에 관계없이 상호 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 개방적 네트워크
: 인터넷은 세계적인 규모의 개방성으로 인해 방대한 '정보의 바다'라고 할 수 있으며 기존의 조직 내 정보시스템과 통합이 용이하다. 즉 모뎀과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통신용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하거나 전용 회선을 통해 조직 내에서 네트워크처럼 활용할 수 있다.
- 소유자나 운영자가 없는 무정부 네트워크
: 단지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컴퓨터가 일정한 규칙에 의해 주소를 갖도록 유도하거나 점검하고 표준을 제시하는 등 일부 관리기관만 존재한다.
- 대중적인 네트워크
: 컴퓨터 통신을 위한 간단한 장치와 통신 소프트웨어만 있으면 시내 전화요금 수준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 용도가 무한한 가능성의 네트워크
: 디지털 통신 및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발달로 인터넷 성능의 고도화가 지속되고 정보고속도로, 분산형 데이터 베이스가 서로 연결되며 네트워크가 지능화됨에 따라 인공지능 및 학습 기능의 추가가 기대된다.
웹
1. 웹의 개념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거미줄(Web)처럼 엮인 공간을 뜻하는 용어로,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 W3)으로 발표되었으며 간단하게 웹(Web)이라고도 한다. 인터넷이 보급되기 시작한 1994년부터 인터넷과 동의어 취급할 정도로 가장 널리 보급된 인터넷 시스템이다.
2. 웹의 탄생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의 소프트웨어 공학자 팀 버너스리가 1980년대에 제시한 정보 관리 시스템에 기반을 둔 서비스로 하이퍼텍스트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문서뿐만 아니라 소리, 동영상 등을 망라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전문 열람 소프트웨어로 열람하는 방식을 생각해 내었고, 이것이 웹의 탄생이 되었다.
따라서, 웹은 하이퍼텍스트 기반으로 연결된 문서들의 집합체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 문서들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작성되며 HTTP를 기본 프로토콜로 사용한다.
*하이퍼 텍스트(hypertext) : 문서 내부에 또 다른 문서로 연결되는 참조를 집어넣음으로써 웹 상에 존재하는 여러 문서끼리 서로 참조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3. 웹의 구성
웹에서는 HTML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웹 페이지(Web page)라고 부른다. 이러한 웹 페이지들 중에서 서로 관련된 내용으로 작성된 웹 페이지들의 집합을 웹 사이트(Web site)라고 한다. 웹은 이렇게 작성된 수많은 웹 페이지들이 하이퍼링크(hyperlink)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웹 서핑(Web Surfing)은 유저가 웹 페이지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를 따라 다른 웹 페이지로 계속 이동하는 것을 말하며,
웬 브라우저(Web Browser)는 유저가 웹 페이지를 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일컫는 말이다. 대표적으로, 크롬, 사파리, 오페라 등이 있다.
4. 웹의 기능
- Universal Readership: 하나의 플랫폼으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환경에 접근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 수집할 수 있는 기능
- Hypertext: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통한 문서 간의 연결 기능
- Searching: 방대한 문서에서 필요한 단어 / 부분을 찾을 수 있는 기능
- Client-Server Model: 중심에서 흐름을 관리하는 관리자나 관리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며 누구라도 문서를 제작하고 읽을 수 있는 기능
- Format negotiation: 공용화할 수 있는 표시 언어. 즉 HTML을 칭함.
잘못된 정보에 대한 댓글은 언제나 환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