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 모델의 또 다른 표기법
- 수십 개 이상의 애트리뷰트가 엔티티 타입에 연결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려면 매우 불편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함
- ERWin 등의 CASE 도구들에서는 새발(crow-feet) 표기법이 흔히 사용됨
- 새발 표기법에도 여러 가지 변형들이 존재함
새발 표기법으로 변환
새발 표기법 변환 요약
ER 스키마를 관계 모델의 릴레이션으로 사상
-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ER 스키마를 관계 데이터 모델의 릴레이션들로 사상함
- ER 스키마에서는 엔티티 타입과 관계 타입이 존재하지만 관계 데이터베이스에는 엔티티 타입과 관계 타입을 구분하지 않고 릴레이션들만 있음
- 릴레이션으로 사상할 대상이 ER 스키마에서 엔티티 타입인지 또는 관계 타입인지
- 엔티티 타입이라면 정규 엔티티 타입인지 또는 약한 엔티티 타입인지
- 관계 타입이라면 2진 관계 타입인지, 3진 이상의 관계 타입인지
- 애트리뷰트가 단일 값 애트리뷰트인지 또는 다치 애트리뷰트인지 등에 따라 사상하는 방법이 달라짐
- ER 모델을 릴레이션들로 사상하는 7개의 단계로 이루어진 알고리즘
ER-관계 사상 알고리즘
- 단계 1: 정규 엔티티 타입과 단일 값 애트리뷰트
- ER 스키마의 각 정규 엔티티 타입 E에 대해 하나의 릴레이션 R을 생성함
- E에 있던 단순 애트리뷰트들을 릴레이션 R에 모두 포함시킴
- E에서 복합 애트리뷰트는 그 복합 애트리뷰트를 구성하는 단순 애트리뷰트들만 릴레이션 R에 포함시킴
- E의 기본 키가 릴레이션 R의 기본 키가 됨
- 단계 2: 약한 엔티티 타입과 단일 값 애트리뷰트
- ER 스키마에서 소유 엔티티 타입 E를 갖는 각 약한 엔티티 타입 W에 대하여 릴레이션 R을 생성함
- W에 있던 모든 단순 애트리뷰트들을 릴레이션 R에 포함시킴
- 소유 엔티티 타입에 해당하는 릴레이션의 기본 키를 약한 엔티티 타입에 해당하는 릴레이션에 외래 키로 포함시킴
- 약한 엔티티 타입에 해당하는 릴레이션 R의 기본 키는 약한 엔티티 타입의 부분 키와 소유 엔티티 타입에 해당하는 릴레이션을 참조하는 외래 키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 단계 3: 2진 1:1 관계 타입
- ER 스키마의 각 2진 1:1 관계 타입 R에 대하여, R에 참여하는 엔티티 타입에 대응되는 릴레이션 S와 T를 찾음
- S와 T 중에서 한 릴레이션을 선택하여, 만일 S를 선택했다면 T의 기본 키를 S에 외래 키로 포함시킴
- S와 T 중에서 관계 타입에 완전하게 참여하는 릴레이션을 S의 역할을 하는 릴레이션으로 선택함
- 관계 타입 R이 가지고 있는 모든 단순 애트리뷰트들을 S에 대응되는 릴레이션에 포함시킴
- 복합 애트리뷰트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복합 애트리뷰트를 구성하는 단순 애트리뷰트들을 포함시킴
- 두 엔티티 타입이 관계 타입 R에 완전하게 참여할 때는 두 엔티티 타입과 관계 타입을 하나의 릴레이션으로 합치는 방법도 가능함
- 주로 방법 1, 2 많이 사용
- 단계 4: 정규 2진 1:N 관계 타입
- 정규 2진 1:N 관계 타입 R에 대하여 N측의 참여 엔티티 타입에 대응되는 릴레이션 S를 찾음
- 관계 타입 R에 참여하는 1측의 엔티티 타입에 대응되는 릴레이션 T의 기본 키를 릴레이션 S에 외래 키로 포함시킴
- N측의 릴레이션 S의 기본 키를 1측의 릴레이션 T에 외래 키로 포함시키면 애트리뷰트에 값들의 집합이 들어가거나 정보의 중복이 많이 발생함
- 관계 타입 R이 가지고 있는 모든 단순 애트리뷰트들을 S에 해당하는 릴레이션에 포함시킴
- 복합 애트리뷰트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복합 애트리뷰트를 구성하는 단순 애트리뷰트들을 포함시킴
- 단계 5: 2진 M:N 관계 타입
- 2진 M:N 관계 타입 R에 대해서는 릴레이션 R을 생성함
- 참여 엔티티 타입에 해당하는 릴레이션들의 기본 키를 릴레이션 R에 외래 키로 포함시키고, 이들의 조합이 릴레이션 R의 기본 키가 됨
- 관계 타입 R이 가지고 있는 모든 단순 애트리뷰트들을 릴레이션 R에 포함시킴
- 복합 애트리뷰트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복합 애트리뷰트를 구성하는 단순 애트리뷰트를 포함시킴
- 단계 6: 3진 이상의 관계 타입
- 3진 이상의 각 관계 타입 R에 대하여 릴레이션 R을 생성함
- 관계 타입 R에 참여하는 모든 엔티티 타입에 대응되는 릴레이션들의 기본 키를 릴레이션 R에 외래 키로 포함시킴
- 관계 타입 R이 가지고 있는 모든 단순 애트리뷰트들을 릴레이션 R에 포함시킴
- 복합 애트리뷰트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복합 애트리뷰트를 구성하는 단순 애트리뷰트를 포함시킴
- 일반적으로 외래 키들의 조합이 릴레이션 R의 기본 키가 됨
- 관계 타입 R에 참여하는 엔티티 타입들의 카디날리티가 1:N:N이면 카디날리티가 1인 릴레이션의 기본 키를 참조하는 외래 키를 제외한 나머지 외래 키들의 조합이 릴레이션 R의 기본 키가 됨
- 단계 7: 다치 애트리뷰트
- 각 다치 애트리뷰트에 대하여 릴레이션 R을 생성함
- 다치 애트리뷰트에 해당하는 애트리뷰트를 릴레이션 R에 포함시키고, 다치 애트리뷰트를 애트리뷰트로 갖는 엔티티 타입이나 관계 타입에 해당하는 릴레이션의 기본 키를 릴레이션 R에 외래 키로 포함시킴
- 릴레이션 R의 기본 키는 다치 애트리뷰트와 외래 키의 조합
ER 개념과 데이터베이스 개념들의 대응 관계
출처
'Computer Science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뷰와 시스템 카탈로그(1) (0) | 2022.04.20 |
---|---|
릴레이션 정규화 (0) | 2022.04.20 |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0) | 2022.04.15 |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ER 모델(1) (0) | 2022.04.13 |
관계대수와 SQL(1) (0) | 2022.04.08 |